블로그 정보

색즉시공 뜻, 대체 뭐길래? 이렇게 화제가 되는가?! 영화 덕분은 아닌것 같은데..

엄티스토리 2020. 3. 3. 16:51

색즉시공 뜻, 대체 뭐길래? 이렇게 화제가 되는가?! 영화 덕분은 아닌 것 같은데..


여러분들은 색즉시공 이란 뜻을 아시나요???

3일 각종 인터넷 사이트 및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색즉시공의 뜻이 네티즌들의 관심사로 계속 화제 중이다.

왜 색즉시공 뜻이 화제 일까?? 이 뜻이 도대체 뭐길래??

이 뜻이 화제가 되고 있는 이유가 최근 온라인에서 유행 중인 일명 정신연령 테스트의 문제 중 하나가,

색즉시공의 뜻을 물어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왜?!ㅋㅋ 뜻이 야할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드는 것은 저만 그러나요..?ㅋㅋ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색즉시공 뜻 은 현실의 물질적 존재는 모두 인연에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서 불변하는

고유의 존재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이라 한다.

절에서나 읊는 말들 중 반야심경에 나온다.

대중에 색즉시공은 또 다른 뜻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지난 2002년 개봉한 영화 제목이 '색즉시공'이다.

배우 임창정, 하지원이 주연해 히트를 쳤었는데.

색즉시공 2 개봉에 사람들은 하지원과 임창정이 헤어질 줄은 몰랐다.. 결혼할 줄 알았다.. 등등 많은

말들이 나왔었다.

저도 참 재밌게 봤었는데.. 참.. 영화를 코미디, 멜로, 섹시, 참 잘 만든 영화라고 생각한다.

자.! 색즉시공의 뜻으로 다시 돌아와서 정신연령 테스트 이 주제 때문에 뜻을 많이 찾아본다.

정신연령 테스트 질문 중 하나이고 그 뜻은,

색 = 공이라는 반야심경의 한 구절.

색은 물질적 존재를 말하며 공은 실체가 없다고 하는 연기의 이치를 말하는 것이다.

곧 물질적 존재인 색은 연기의 이치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므로 실체가 없는 것과 같다는 의미이다.

즉 은 앞에서 이중부정인 불 이를 통하여 다르지 않음을 말한 것을 이어받아서 동일함을 강조하는 말.

이 구절은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는 전체적인 문장에서 떼어놓고 해석하기 어렵다.

전형적인 불교 이신분들은 아시는 분들도 많지만 10~30대 사이 모르는 사람 대다수 인 뜻과 말이다.


이 부분의 물질적 현상은 실체가 없는 것이며 실체가 없는 것이 물질적 현상이다.

물질적 현상은 실체가 없는 것과 다르지 않고 실체가 없는 것은 물질적 현상과 다르지 않다.

무릇 물질적 현상이란 전체적인 실체가 없는 것이요 무릇 실체가 없는 것이란 물질적 현상이다.

한역본과 동일하게 수상행식도 또한 마찬가지다.

한역본의 문장 앞에 색즉시공 공즉시색에 해당하는 구절이 한 번 더 들어가 있는 형식.

이에 대해 번역자인 현장은 첫 번째 부분과 세 번째 부분의 형식이 유사하여 한문으로는 미묘한 차이를,

옮길 수 없었던 것.

첫 번째 부분을 생략한 것으로 나타남.

반야경 계통의 경전과 원문을 미루어 볼 때 첫 번째의 색즉시공 공즉시색에 해당하는 구절은 완전히 동일하다는

것에 대한 절대적인 선언적 명제.

두 번째의 색불이공 공불이색은 양자의 차이가 전혀 없음을 강조하는 명제.

세 번째 색즉시공 공즉시색은 거듭 첫 번째 명제를 강조하면서도 공이라는 추상적인 관념이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색이라는 구체적인 현상과 일치한다는 것을 주장하는 명제.

이러한 원전의 흐름으로 볼 때 한역본 반야심경에서의 색즉시공 공즉시색은,

첫 번째의 절대적인 선언적 명제와 세 번째의 실제로 증명 가능한 것이라고 하는 주장이 함께,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색-공에서 공-색으로 어순을 바꿔서 거듭 언급하는 것은 첫 번째 색-공의 구조에서는 현상 세계의 생멸 변화하는

물질적 현상의 실상은 실체가 없다는 것.

두 번째 공-색의 구조에서는 진리를 깨달은 세계의 시점에서는 실체가 없다고 하는 이법이 물질적 현상에 담겨

있음을 말하기 위한 까닭이다.

따라서 상극의 논리를 사용하여 색즉시공은 물질적 현상은 생멸 변화하는 것이므로 그것은 실체가 없다고 하는 실상과

같다는 것을 선언하면서 동시에 그러한 이치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고.

공즉시색은 실상은 실체가 없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이 물질적 현상의 생멸 변화로 나타나므로 같은 것.

마찬가지로 동시에 그러한 이치를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색과 공의 관계를 범부 중생과 부처, 미혹과 깨달음 현상과 진리의 차원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곧 범부 중생의 눈으로는 색이 실재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부처의 눈으로 보면 실체가 없는 공.

현상 세계의 색이 영원히 존재하는 실체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미혹에서 벗어나서 그 실상을 보고 집착을 버려서

깨달음을 얻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가르침의 압축한 뜻.


다들 이해하셨나요?? 저도 요번에 자세히 알아본 결과입니다.

색즉시공, 공즉시색, 공불이색, 정신연령 테스트와 연관 있는 질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펼치기/접기
엄성진 | 엄성진 | 천안시 서북구 성정공원6길 22, 308호 (성정동( | 사업자 등록번호 : 232-44-00595 | TEL : 010-5469-3118 | Mail : dja1235a@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