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엄티 정보통신망 Foreign News

3월 소비자물가 1.0% 상승? 코로나19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역화로 식재료 소비 비율 올라갔다??

by 엄티스토리 2020. 4. 2.

3월 소비자물가 1.0% 상승? 코로나19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역화로 식재료 소비 비율 올라갔다??

식을 전하지 못하였습니다.

소식 업데이트를 못해드린점 죄송합니다.

오늘 부터 궁금하신 여러분들을위해 소식 업데이트 대폭 할예정입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

코로나19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소비자 물가 가공식품 - 축산물 상승률.



서비스물가 상승률 외환위기 때 최저치 경신한 2월과 비슷하게,

통계청 코로나19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으로인한 물가 상승, 하락 복합작용 등.

OECD기준 근원물가 20년여만에 최저를 찍었습니다..

소비자물가가 3개월 연속 1%대 상승을 보였다.


코로나19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외출을 자제하면서 식재료 소비가 증가해 가공식품과 축산물 가격이 상승.

하지만 외식 = 여행 등 서비스물가 상승률은 외환위기 때 기록했던 역대 최저치를 경신한 2월과 거의 비슷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2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올해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5.54 / 2015년 = 100 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0% 상승.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2개월 연속 1%를 밑돌았으나 올해 1월 1.5%로 올라선 뒤 2월 1.1%, 3월 1.0%로 석 달 연속 1%대를 보이고,

이는 농산물 가격 기저 효과가 사라지고 석유류 가격이 오른 데 따른 것이다.

다만 국제 유가 하락이 국내 유가에 반영되면서 물가 상승폭이 둔화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소비 패턴이 변화하면서 품목마다 가격 등락이 엇갈렸다.

지난달 서비스물가 상승률은 0.5%로, 1999년 12월(0.1%) 이후 최저였던 2월(0.4%)에 이어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서비스물가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외식 물가는 가격 상승 요인이 많은 연초인데도 0.9% 상승.

호텔숙박료는 5.2% 하락해 2010년 8월 -9.4% 이후 최저, 콘도 이용료도 3.1% 하락했다.

상품 가운데서는 농·축·수산물 가격이 1년 전보다 3.2% 올랐고, 공업제품 가격은 1.3% ?!?!?!

특히 식재료 소비 수요가 늘어난 축산물이 6.7% 올랐고, 가공식품도 1.7% ?!?!?

달걀은 20.3%, 돼지고기는 9.9% ??!?! 죄다 오른상태..

공업제품에서는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로 승용차 가격이 하락했다.

소형승용차와 대형승용차는 2.3%, 1.1% 내렸고, 중형승

용차 2.1% 와 수입승용차 1.6% 는 상승폭이 크게 둔화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코로나19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사태에서 감염 예방을 위한 소비패턴의 변화와

경기 진작 정책이 물가에 영향을 미쳤고,

국제적으로는 경기가 안 좋아 유가가 하락한 점이 국내 유가에 반영되며 물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하고있는데 국민은 어쩌겠나...

안 심의관은 코로나19가 물가 상승·하락에 복합적으로 작용해 3월 물가가 예상보다 크게 하락하지는 않았다.

작년에 물가가 낮았던 기저 효과가 있어서 향후 물가가 마이너스 - 로 가긴 어려우나,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물가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인다. 

마스크 가격 KF94 방역용 기준 은 코로나19 사태로 가격이 급격히 오르다가 공적 물량이 풀린 이후 상승세가 확연히 꺾였다.

통계청의 일일 가격조사 결과 오프라인은 약국과 마트를 합쳐 공적 마스크 판매가격 1천500원 보다 300원 높은 1천800원 정도.

온라인은 5천원대였던 것이 4천원대 초반으로 떨어졌지만 여전히 비싼 수준이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0%대에 머물고있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 근원물가 는 1년 전보다 0.7% 상승.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 대비 0.4% 올랐다.

이는 외환위기 때인 1999년 12월 0.1% 이후 20년 3개월 만에 최저 수준.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460개 품목 가운데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1.8% 상승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3.8% 상승

소비자물가에 소유주택을 사용하면서 드는 서비스 비용을 추가한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1년 전보다 0.8 올라온 상태이다.

코로나19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여파가 지속적으로 될경우 경제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을것으로 보인다.


(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


사업자 정보 표시
엄성진 | 엄성진 | 천안시 서북구 성정공원6길 22, 308호 (성정동( | 사업자 등록번호 : 232-44-00595 | TEL : 010-5469-3118 | Mail : dja1235a@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